본문 바로가기

신사임당의 인생은 실전이다

29. 좋은 결과를 만드는 세가지 프레임

반응형

 

 

인생은 실전이다 407p

 

쇼셜 미디어의 발달로 우리의 말은 글과 영상을 통해 세상에 퍼져나갈 수 있게 되었다.

말 한마디가 엄청난 경제적, 문화적 파급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결과를 만들어내는 말을 할 수 있을까?

 

1. 권위 효과

권위 효과의 힘은 막강하다.

어렸을 적에 친구들과 논쟁할 때 근거를 물으면

쉽게 나오는 말이 "TV에서 봤어!"였다.

지금은 많이 줄었지만,

과거에는 대중매체의 권위 효과가 엄청났다.

 

우리가 끊임없이 공부해야 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제대로 된 권위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요즘은 온라인의 발달로 누구나 구글링을 통해 논문도 읽을 수 있고,

운이 좋으면 권위자와 소셜 미디어로 소통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은 처참하다.

소셜 미디어를 보면 근거 없는 괴담이 퍼지면서

어느 순간 거짓이 사실로 둔갑하기도 한다.

확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논리를 전개하면

굉장한 경쟁력을 얻을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2. 내가 아니라 우리

세상에는 수많은 사람이 다양한 배경 속에서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지만,

거의 확실한 공통점이 하나 있다.

가장 관심이 많은 것은 자기 자신이라는 점이다.

 

시끌벅적한 시장에서도 누가 내 이름을 부르면

어렵지 않게 인지할 수 있다.

그만큼 우리는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자신에게 관심이 많다.

그래서 대화할 때는 '내' 관심사가 아니라,

상대방이 포함된 '우리'의 관심사를 이야기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대화할 때 자신을 대화의 중심에 넣으려고 한다.

먼저 함께 얻을 수 있는 부분부터 곰곰이 생각해 보자.

내가 아닌 우리가 대화의 중심에 들어오면 관점의 차이에서 오는

불협화음이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다.

 

3. 낮은 진입장벽

많은 사람들이 빨리 결론에 도달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럴수록 결론은 멀어질 수 있다.

대화를 통해 어떤 결과를 만들어야 할 때는

우선 상대방이 쉽게 수긍할 수 있는

작은 것부터 실마리를 풀어나가면 더 효과적이다.

 

아주 낮은 진입장벽으로,

누구나 동의할 만한 주제의 이야기로 시작하면서

약한 공감대라도 먼저 형성하자.

그냥 본론으로 넘어갔을 때 실패 확률이 90% 라면

이미 80%까지 낮췄다고 봐도 좋다.

 

언제나 최선을 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무작정 열심히 할 것이 아니라,

효과적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프레임을 성장하는 것은

최고의 전략이 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