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012 라이프 트렌드 2022

반응형

< 차 례 >



0. Better Normal Life

1. Culture Code
-유희가 된 가드닝과 반려 식물
- 올라운드 비거니즘
- 럭셔리의 새로운 조건, 리페어
- 멀티버스 : 세계관 놀이와 메타버스, 그리고 디지털 휴먼
- 디지털 자산과 NFT, CBDC, 그리고 이미 시작된 현금 없는 사회

2. Life Style
- 스몰 액션
- 언리미티드 스타일
- 클러터 코어와 맥시멀 리스트
- 강력한 욕망이 된 셀프 행복

3. Busines & Consumption
- 오염 엘리트
- 크래프트 소비
- ESG 위성과 ESG 쇼잉

 

 

 

전에 프로페셔널 스튜던트의 저자 김용섭 원장님이 쓰신 책이다.
라이프 트렌드를 10년째 쓰신 분이다.

우리는 과거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 새로운 일상으로 간다. 
팬데믹을 거치면서 바뀐 우리의 욕망, 사회, 비즈니스 등을 흡수한 채 더 나은 일상을 찾고자 한다.
이미 사회, 경제, 산업 등이 바뀐 상태이므로 다시 리셋될 리 없다.
출퇴근과 원격 / 재택근무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워크가 대세가 되고,
집도 편안한 휴식처에 홈 오피스, 학교, 극장 등 여러 기능적 속성이 결합된 공감으로 확장되며,
일상 소비재와 의식주 전반에 이르는 다양한 영역에서 익숙한 것과 새로운 것이 결합하는 등 
우리가 변화를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도록 만들어 준다.

가드닝(Gardening)과 반려 식물을 주목하고,
비거니즘(Veganism)과 럭셔리의 새로운 조건이 된 리페어(Repair),
메타버스를 넘어 멀티버스,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과 NFT(Non-Fungible Token),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가 만드는 트렌드 변화,
소비를 바꾸고 의식주의 변화를 이끈 스몰 액션(Small Action), 
펜션에서의 언리미티드 스타일(Unlimited Style),
강력한 욕망이 된 셀프 행복,
비즈니스와 마케팅의 숙제가 되는 오염 엘리트(Polluter Elite),
소비의 확장인 크래프트( Craft),
ESG의 리스크인 ESG 워싱(Washing)과 ESG 쇼잉(Showing) 
12가지 트렌드 이슈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은 21년 유엔에서 195개국 만장일치로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격상한다.
하지만 우리의 삶은 그렇지 못하다.
삶의 만족도는 40개국 중 33위이고,
일과 삶의 균형 또한 37위,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꼴찌이다.

이 책엔 전반적인 환경 문제를 생각하게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헌 옷 수출국 5위라는 걸 알았을 땐 무척 놀랐다.
캐시미어를 생산하기 위해 몽골이 사막화가 가속화된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했다.
이 책은 2022년 트렌드를 말하고 있지만 우리에게 생각할 화두를 많이 던져준다.

메타버스 세계관은 재미있다.
다 알면서도 일부러 속아 넘어가고 모른 척해 주는 세계관.
시가 총액 500조 원을 자랑하는 코스피 1위 기업 김갑생할머니김의 이호창 미래전략실 본부장,
서태지 이후 가장 혁명적인 그룹이라는 월드 클래스 아이돌 듀오 매드 몬스터의 제이호,
한사랑산악회의 이택조 부회장
이들은 모두 실존하는 인물이 아니라 개그맨들이 연기하는 가상인물들이다.
유튜브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결국 음악 방송에 출연까지 한다.
꾸며낸 세계관에 몰입해 주며 즐겼던 사람들도
이들이 진짜 아이돌 그룹이 아닌 것을 알지만 음반도 발표하고,
음악 방송에도 출연했으니 가짜가 진짜가 된 것이다.

반응형